한국의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대기업이나 일부 연구기관을 제외하면 박사급 R&D 일자리가 부족한 상황이다. 중견기업을 포함한 대부분의 기업은 박사급 일자리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해외 한인 과학기술인들이 귀국을 망설이는 이유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중견기업 전체의 박사 학위 연구자 비중은 4.5%에 불과하며, 석사 학위 연구자 비중은 32.5%로 대기업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해외 한인 과학기술인들은 일자리 부족 뿐만 아니라 처우 문제도 지적하고 있다. 현재의 고학력 과학기술 인재 정책이 기업의 수요에만 주력하고 있어서 개개인의 선호와 적성, 발전 가능성 등에 대한 고려가 충분하지 않다는 의견이다. 이로 인해 해외에서도 근무할 만한 만족스러운 조건의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것이 해외 한인 과학기술인들의 공통된 얘기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중국의 경우 국가 정책으로 유학생의 장래를 보장해주어 두뇌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한국도 유사한 정책을 마련해 과학자들에게 귀국의 만족감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 정부와 기업은 해외 한인 과학기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일자리 창출과 복지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으면 우수한 과학 인재의 귀국이 어려워지면서 국내 과학기술 분야의 경쟁력 강화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한국의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일자리 부족과 처우 문제로 해외 한인 과학기술인들의 귀국이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개개인의 선호와 만족도를 고려한 인재 양성이 필요하며, 중국과 같이 국가 차원에서 두뇌 유출을 막기 위한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 정부와 기업은 해외 한인 과학기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일자리 창출과 복지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으면 우수한 과학 인재의 귀국이 어려워지면서 국내 과학기술 분야의 경쟁력 강화에 어려움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