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배당주2

by 봄향기. 2023. 12. 24.
반응형

4.코스트코

이번 주에  특이사항 있었죠

 특별 배당을 발표했었는데 3년 만에 또 특별배당을 발표합니다. 이게 뭔지 잠깐 설명드리면 기본 배당금을 주는데 코스트코는 장사가 잘 될 때 한 번씩 특별 배당을 줘요. 제가 그래서 미국 배당주를 좋아하는 게 이렇게 주주 친화적입니다. 주주한테 돌려주는 기업들이 많아요. 그러니까 이것도 주주 환원책이고 주주 친화 정책이죠. 그러니까 투자자들도 소홀하지 않는다. 고객들한테도 잘하지만 투자자들한테도 잘해주는 회사가 코스트코 같은 회사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회사고 배당주지만 주가 상승률도 만만치 않다. 올해 수익률 44% 나스닥에 비될 만큼 좋고요. 고점 대비 30% 빠졌다가 회복하고 있는데 역대 가장 큰 특별배당을 발표했습니다. 지금 주가가 워낙 오르기 때문에 배당률이 1퍼센트 대 밖에 안 되지만 특별배당을 2퍼센트 주는 배보다 배꼽이 큰 회사입니다. 어마어마하게 코스트코 역사상 가장 큰 특별배당을 해줬습니다. 그래서 주주분들은 보너스 받은 셈이죠. 연말에 주가도 신고가 가는 모습입니다.

 저도 사실 코스트코 멤버십 가지고 있어가지고 한 달이나 두 달에 한 번씩 가긴 가거든요. 갈 때마다 느끼지만 여기는 불황이 없다. 그렇죠 가신 분들 느끼죠 주차장 막 미어 터지고 그 큰 카트에다가 그렇게 많은 물건을 사가는데라는 생각이 드는 회사였는데 주가도 셉니다. 기술주만 사야 오르는 게 아니라는 걸 보여주는 대표 기업이 코스트코가 아닐까 멤버십으로 엄청난 수익을 내는 회사죠.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고 간만에 좋은 소식 이네요

5.웨이스 매지니먼트

 폐기물 처리 기업 중에 1등입니다. wm이라고 그래서 이게 웨이트 매니지먼트인데 이 기업도 이번 주에 배당을 또 늘린다고 발표해서 장 가져왔어요. 참고로 이 기업이 빌게이츠가 찍은 기업 배당 성장주로도 유명하거든요. 여기도 기사 보시면 빌게이츠는 쓰레기를 좋아해라고 하시는데 그 트레시가 쓰레기가 그 진짜 쓰레기가 아니고 이 폐기물을 처리하는 1등 기업 이거 우리나라는 이렇게 공기업이 하잖아요. 환경미화원께서 계시는데 미국은 민간 기업이 하죠. 이거 1등 기업입니다. 웨이스 매니지먼트.  폐기물이 늘어나는 한 이 기업은 망하기 힘들다. 인간이 배출하는 폐기물 쓰레기가 많아질수록 이 기업은 돈을 많이 번다 약간 이런 생각으로 투자하는데 빌게이츠도 아마 그런 마음가짐으로 사놓는 기업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근데 역사적 신고가 뚫었고 배당도 7% 늘었어. 계속 이런 기업들도 있다. 배당 성장주로 빌게이츠 포트폴리오 4위 정도에 올라와 있습니다. 되게 상위권이에요. 대주주 중에 한 명입니다.  폐기물이 존재하는 한 망하기 어렵다고 그랬는데 이번에 CEO도 뭐라 그러냐면 우리의 사업은 아주 강력하고 일관된 현금 흐름을 준다. 사람들이 매일매일 폐기물 내놓으니까요.  우리가 재활용 내놓으면 그게 다 이 회사한테 돈으로 가는 겁니다. 쉽게 말하면 미국에 계시다면 그렇죠 주주들한테 환원이 가능하다. 그래서 배당금도 21년 연속 늘리고요. 코로나 때도 끄덕없었고 코로나 때 오히려 완전 수혜였죠. 폐기물이 너무 많이 나와가지고 돈 진짜 많이 벌었죠. 이 회사는 금융위기도 끄덕없었어. 코로나 때도 끄떡없었고 중간중간 아무 위기도 없었을 정도로 이런 기업이 좋은기업이다 

6.옥시덴탈

그리고 고배당주는 아닌데 이번에 버핏이 또 에너지 기업을 또 샀거든요. 옥시덴탈 미스테리입니다. 버핏은 도대체 뭘 보고 있는 걸까요? 지금 에너지 기업 중에 엑슨모빌, 쉐브론 말고 옥시덴탈이라고 있는데 이번에 또 추매했는데 마침 공교롭게도 이번 주에 옥 이 배당 20% 늘린다고 그랬거든요. 그래서 지금 포트 6위에 올려놓고 있는데 버핏이 지금 유가도 많이 빠지고 에너지 기업도 약간 비실비실 되는데 인플레어가 내려가고 있는데 버핏은 장기 고유가에 베팅하는 건지 인플레아가 다시 올라간 다음에 베팅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게 버핏의 성과는 항상 1~2년 뒤에 나오거든요. 그때 버핏이 그랬다 이게 나중에 밝혀져요. 꼭 그래서 1~2년 뒤에 사람들이 맨날 버핏이 옳았다 이러잖아요. 근데 지금은 어떤지 진짜 모르겠어. 예전에도 맨날 버핏이 일본 상사 주식 원자재 주식을 살 때 사람들이 저거 왜 사는 건지 모르겠다고 그랬는데 1~2년 뒤에 주가가 오르고 나서야 그때 버핏이 왜 샀는지 이제 알 것 같다 그랬는데 과연 버핏의 옥시덴탈 매수는 어떤 결과를 갖고 올지 저는 정말 궁금하고 또 이제 버핏이 사는 주식들은 이렇게 배당과 자사주 매입을 늘리는 주주 친화적인 행보를 보이고 배당 늘렸고 그래서 참고로 고배당주 중에 대표가 엑소모빌라고 쉐브론이라는 에너지 기업인데 4% 배당 넘게 주는 회사들인데 옥시덴탈도 원래 코로나 전까지는 배당금을 쭉쭉 늘려서 고배당주였어요. 막 4% 5% 가던 회사였는데 코로나 때 이 회사가 진짜 망할 뻔했거든요. 오일 가격 이런 게 폭락하면서 에너지 기업들이 다 위험했는데 배당 컷을 했다가 다시 이제 배당금을 쭉쭉 늘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은 배당률이 1.6밖에 안 되는데 버핏이 대주주로 올라온 이상 배당금을 다시 쭉쭉쭉 늘리지 않을까 싶어요. 워렌 버핏이 애플 인수하기 시작했던 애플을 사 모으기 시작했던 2016년부터 애플도 본격적으로 배당을 늘리고 자사주 매입을 늘렸거든요. 버핏이 압박을 넣는 건지 모르겠지만 그런 일치가 있습니다. 버핏이 사면은 사는 시점에는 기업들이 배당과 자사주 매입을 적극적으로 늘렸다 주주 친화적인 정책을 했다고 그랬는데 이것도 한번 봐야겠습니다.

7.금융배당주

 최근에 이제 경기 침체 우려가 좀 줄어들면서 민감주인 대표 금융 배당주인 JP모건과 자산 관리 대표 기업이죠. ETF의 대명사인 블랙락도 주가가 쭉쭉쭉 오르면서 배당률이 JP모건 같은 경우는 4% 넘었다가 지금 2.5까지 내려와버렸고  이렇게 되면 배당주로서는 매력이 떨어져요.  또 기회가 한 번씩 오더라고요. 2022년에 이런 식으로 배당률 4% 넘을 때가 가끔씩 있었고 블랙락도 배당률이 3.5 넘어갈 때가 이렇게 한 번 있었는데 지금 주가가 또 오르니까 배당률이 2.4까지 내려와버렸습니다. 이러면 좀 매력이 또 약간 떨어지죠. 주식이 나쁘다는 게 아니고 주가적인 매수 매력도가 배당주 입장에서 4%짜리 배당이랑 2% 배당이랑 좀 느낌이 다르잖아요. 이렇게 주가가 떨어졌을 때 사놓으면 시세차익도 누릴 수 있고 배당은 배당대로 받고 할 수 있으니까 이런 관점에서의 배당도 한번 보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우량 배당주니까 아무 배당주를 얘기하는 게 아니고 1등 기업들이니까 계속 모니터링해보면 좋겠습니다. 지금 한번 정리해 봤고 그래서 오늘은 이슈가 있는 배당주들 화이자 많이 빠진 거, 리얼티 인컴 배당 늘린 거 그리고 옥시덴탈도 배당 늘린 거, 코스트코 특별 배당 준 거, 폐기물 처리 기업 웨이스트 매니지먼트도 배당 늘린 거 그래서 배당률 순으로 나열해놨고 하락률 보셔도 되고 평균 배당률 대비 얼마나 배당률에 차이가 있는가 초록불 들어와 있는 게 지금 배당률이 평소보다 높다는 얘기 이거 표 참고하시면 될 것 같고요. 제가 한 번씩 배당주 정리해드릴게요. 이슈가 있을 때 그리고 평소보다 좀 배당률이 높은 배당주들 여기 배당률 순으로 나열해 놨습니다. 배당주 좋아하시는 분들은 한 번씩 모니터링 차원에서 보시면 될 것 같아요.

8.배당주 ETF

그리고 대표 배당주 ETF도 있습니다. 슈드라고 불리는 고배당주 ETF 이것만 평생 모아가겠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을 정도로 이런 거 좋아하시던데 이것도 넣어놨습니다. 배당주 ET 자산 규모 순으로 이 순서대로 큽니다. 배당주 ETF 중에서는 2등 정도 할 정도로 인기가 많은 고배당주 ETF도 저는 배당주 ETF로는 안 하고 개별 배당주들로 이렇게 매수 매도를 하는 편입니다. 그래 이렇게 소개해 드렸고 마음 편한 거는 배당주 ETF로 그냥 사시면 되겠죠. 그렇죠 개별 주식 매번 보는 것도 스트레스받고 공부하기 귀찮은데 이슈가 있을 때 그리고 평소보다 좀 배당률이 높은 배당주들 여기 배당률 순으로 나열해 놨습니다. 배당주 좋아하시는 분들은 한 번씩 모니터링 차원에서 보시면 될 것 같아요. 

728x90
반응형